-
세입자가 전세 계약 갱신을 요구한 뒤 바뀐 임대인이 실거주를 원하면?생생부동산정보 2023. 2. 14. 11:50반응형
답은 세입자는 새로운 집주인이 실거주를 원하면 나가야 됩니다.
대법원 3부(주심 노정희 대법관)는
최근 임대인이 임차인 상대로 낸 건물인도 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법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 임차인은 임대인 C 씨가 소유한 아파트를 2019년 4월부터 2년 동안 임차 계약을 맺음.
- 이 아파트는 2020년 7월 임대인 C 씨가 임대인 A에게 매도함.
- 임차인은 임대인 C 씨에게 계약 갱신 요구를 했지만 임대인 C 씨의 대답은 임대인 A에게 매도를 했고, 임대인
A가 실거주해야 하기 때문에 계약 갱신 요구를 거절했음
- A 씨는 2020년 10월 아파트 소유권 이전 등기 완료 마친 후 실거주해야 한다고 B 씨를 상대로 아파트 인도를 구하는
소송 제기
- 1심 : 임대인 A 씨 일부 승소
- 2심 : 임차인 B 씨 승소
2심 재판부는 임차인이 B가 임대차 계약 갱신 요구할 때 A 씨는 소유권 이전등기를 마치지 않아 임대인이 아니고, 임대인이 실거주하기 위해 계약 갱신을 거절할 수 있는 규정은 임차인이 계약 갱신을 요구할 당시의 임대인을 기준으로 봐야 한다는 취지
그러나 대법원의 판단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대법원 판결은 갱신거절권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는 새로운 임대인이 되는 양수인도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 갱신을 거절할 수 있다는 법리를 적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양수인이 갱신거절 기간에 갱신거절권을 해당하지 않을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아요.
굉장히 주목할만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갱신거절권 행사할 수 있는 기간에는 새로운 임대인이 되는 양수인도 실거주를 이유로 계약갱신을 거절할 수 있다는 사실!!
꼭 기억해 두시길 바랄게요.
반응형'생생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갱신청구권 묵시적갱신 관련 종합질문 총정리! (0) 2023.02.16 세입자 정보 확인권, 최우선변제금액 상향 (0) 2023.02.15 2주택자 세금 절세 방법 (0) 2023.02.09 빌라왕, 건축왕의 전세사기 5가지 수법 (0) 2023.02.07 한국주택금융공사 특례보금자리론 신청대상과 소득기준에 따른 금리, 디딤돌대출 중복지원가능? (0) 2023.02.07